아무래도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컴퓨터 OS(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를 물어보면 윈도우(Windows)라고 답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IT를 업으로 삼으시는 분들 중에는 윈도우보다 맥(MAC)이나 리눅스가 더 익숙하신 분들도 있을텐데요.
이전부터 한국에서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종속성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여 왔습니다. 윈도우의 특정 버전이 종료되면 해당 운영체제에서만 동작하는 서비스들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오늘은 정부에서 진행한 사업인 개방형 OS 개발에 대해 짧게나마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제가 이전에 있었던 회사에서도 개방형 운영체제를 개발하곤 했었는데요. 그런데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사실 개발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건 운영체제를 개발입니다. 파일 시스템의 구조 설계부터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고, 메모리 관리는 어떻게 할지에 대한 커널을 만드는 것부터 어렵죠.
심지어 검은 화면에 흰 글씨로만 동작하는 CLI(Command Line Interface)가 아닌 윈도우와 같이 GUI를 어떻게 구현할지 등 굉장히 많은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그러다보니 여러 기업에서 개발하 개방형 OS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리눅스 배포판을 기반으로 만들어지게 되는데요.
사실 따지고 보면 윈도우의 종속성을 벗어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리눅스 말고 없기에, 어쩔 수 없이 개방형 운영체제라는 이름으로 리눅스 기반으로 간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많은 앱들이 윈도우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있다는 점인데요.
단적으로 카카오톡을 리눅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용으로 다시 앱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인거죠. 물론 리눅스에서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성능 문제가 있기에 이러한 부분이 해결 과제로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이전부터 개방형 운영체제라고 하면 국가기술연구소가 개발한 구름OS, 인베슘이 개발한 하모니카와 티맥스의 티맥스OS가 있는데요. 앞으로 공공기관에 공급될 노트북인 온북에는 구름OS가 탑재될 것이라고 합니다. 공공기관이다 보니 보안성을 고려할 수 밖에 없어서 많은 보안 기술들이 탑재된 운영체제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민간시장에는 개방형 OS 도입이 어려워 보이는데, 좀 더 많은 기능들이 들어간다면 금융권까지는 확장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글이 길어지니 더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에 말씀드리고, 이번 글은 여기서 줄이도록 하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ecurity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악성코드에 감염된다면? (0) | 2023.02.09 |
---|---|
개인정보보호 법규 위반한 현대차 농심 등 과태료 부과 (0) | 2023.02.08 |
LG유플러스 18만명 개인정보 유출 사건 (0) | 2023.02.06 |
2023년에도 빠르게 증가할 랜섬웨어 공격 추세 (0) | 2023.02.05 |
북한 개발자 위장 취업 활동으로 인한 IT 인력 채용 주의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