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인정보3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업이 확인할 수 있을까? 최근 네이버 클라우드의 서비스인 마이박스(MYBOX)에서 사용자 및 컨텐츠 통계자료를 공개했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진이나 이미지 등과 같이 마이박스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마음대로 본 것이 아니냐라는 논란이 되었는데요. 이런 통계 자료를 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찍은 사진을 직접 확인해야만 가능합니다. 특히 마이박스 캠페인 페이지에서 공개한 자료 속에 개인이 촬영한 듯한 사진이 올라오면서 커뮤니티에는 클라우드에 사진을 올리면 안된다는 글까지 올라오고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기업이 클라우드 데이터를 정말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기업에서 데이터를 들여다본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하는데요. 솔직히 마이박스와 같이 사용자가 데.. 2023. 3. 18.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핵심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최근 보안 컨설팅을 진행하면서 제일 많이 보게 된 법이 흔히 개보법이라고 부르는 개인정보보호법 인데요. 사실 컨설팅을 하기 전에는 개인정보보호법이 있다고만 알고 있었지, 해당 법이 정확히 어떤 법이고 어떻게 하면 법을 위반하는 건지 잘 몰랐었습니다. 이 개인정보보호법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이제서야 알게 되었는데, 이 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특정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하더라도 비밀번호와 같은 중요한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은 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기도 했고, 지금은 특정 법률이 적용되지 않는 이상 처리할 수 없는 주민등록번호도 저장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습니다. 이 개인정보보호법 덕분에 개인정보가 법적으로 보호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오늘은 근래 국회에서 발의된 개보법 개정 사항 중 핵심인 "개인정보.. 2022. 6. 23.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 도입 오늘은 지금까지 설명했던 악성코드 이슈가 아닌 프라이버시.. 즉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이야기를 드릴까 합니다. 여태까지는 기술적 보안 측면의 내용들만 소개시켜 드렸는데 너무 또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으면 안될 것 같기도 하고, 최근 보안에서 중요한 화두가 데이터 3법, GDPR, 마이데이터(MyData)처럼 개인정보를 보호하는게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관리적 보안 측면에서 내용을 소개드리도록 하죠. 이번에 가져온 기사는 애플에서 앱 추적 투명성(App Tracking Transparency, ATT)을 도입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재미없을 수 있겠지만 최대한 관심이 갈 수 있게 내용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왜 최근에 개인정보 보호가 화두가 되고 있는지 먼저 말씀드려보도록 할텐데요. .. 2021. 5.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