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정보보호법 위반2 비대면 의료 앱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례 코로나 이후에 재택 치료가 늘면서 비대면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 굉장히 많이 생겼습니다. 특히 닥터나우나 똑딱과 같은 스타트업들이 투자를 받으면서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죠. 그런데 너무 급성장에만 몰두한 탓인지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등한시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특히 작년 10월 국회의 국정감사에서 특정 비대면 의료 앱들의 개인정보 수집 방식이 지적되면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조사에 나섰는데요. 이제 막 크고 있는 시장이기에 과태료가 부과되면 성장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이는데,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는 비대면 의료 플랫폼 5개를 대상으로 개인정보의 수집 동의와 처리 방침의 항목을 .. 2023. 1. 18. 명품 쇼핑몰 발란 개인정보 유출 과징금 부과 사례 이전에 유튜브나 TV를 보다 보면, 김혜수 배우가 찍은 "발란"이라는 온라인 명품 쇼핑몰 광고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전에는 꽤 뜨는 유니콘 기업이기도 하고 유명한 배우가 찍었기 때문에, 지난 8월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발란에 5억 이상의 과징금을 부과했다는 기사를 보고 좀 놀라웠었는데요. 어떻게 개인정보가 유출되었고, 어떤 것들을 위반했기에 5억이라는 과징금을 받았는지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특히 과징금을 부과한 내용과 함께 개인정보보호법에서 명시하는 기술적인 안전조치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죠. 우선 발란에서는 지난 3월과 4월 두 차례에 이은 해커의 공격으로 160만 여건의 고객명,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고 합니다... 2022. 10.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