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일리시큐2 개인정보 유출 채팅 앱 사례 오늘은 스마트폰에서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채팅 앱 사례에 대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인정보 유출에 포커스를 맞추기 보다는 스파이웨어라는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글을 썼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오늘은 안드로이드에서 악성 앱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서도 같이 설명드리도록 하죠. 자.. 그럼 스파이웨어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다들 스파이웨어라는 건 대강 알고 계시겠지만, 스파이웨어와 비교되는 애드웨어와 헷갈리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스파이(Spy)는 상대편에서 아군인 척 위장하여 기밀 정보를 몰래 빼내는 사람을 의미하죠. 그래서 스파이웨어는 Spy와 Software의 합성어로 피해자의 컴퓨터 정보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악성코드를 이야기합니다. 보통 애드웨어(A.. 2021. 5. 28. 전문가를 타겟으로 한 스피어피싱 사례 오늘 갈무리해볼 기사는 이전 글인 "회계법인을 사칭한 스피어피싱 공격"에서 소개드린 내용과 비슷한 사례입니다. 여태까지는 '보안뉴스' 매체의 기사만 인용했었는데 이번에는 '데일리시큐'라고 하는 매체에서 괜찮은 내용이 있길래 가져와 봤습니다. 자.. 그럼 오늘도 짧게 정리해보도록 하죠. 어제 말씀드린 스피어피싱에 대해 짧게 요약하자면..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한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일종의 피싱 공격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래서 해커가 좀 더 공들여서 사전에 정보를 수집한 후 공격하기 때문에, 일반 피싱보다는 더 정교한 방식이다..라는 점을 강조했죠. 그리고 이번에 설명드릴 내용에는 사람의 심리를 이용한 방법도 추가되어 있어서, 알고계시면 이런 악성 메일에 속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을까.. 2021. 5.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