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랜섬웨어 복구2

하이브 랜섬웨어 복구 툴 배포 사례 지금까지 굉장히 많은 악성코드 사례에 대해 설명드렸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소개해드린 악성코드가 랜섬웨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공인인증서 탈취나 키로깅을 하는 개인정보 유출형 악성코드는 특정 기관에 신고해서 어느 정도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지만, 랜섬웨어의 경우 복구가 불가능 하면 이전의 자료를 모두 날리거나 업무 수행이 불가능해지는 등 어떻게 보면 그 피해가 더 크다고 보여지는데요. 그러다 보니 보안 업체에서 랜섬웨어 탐지 및 백업 제품과 같은 랜섬웨어 전용 보안 솔루션을 내고 있는 상황이죠. 그런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랜섬웨어에 감염되더라도 복구를 할 수 있는 툴을 배포하고 있어서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이번에 KISA에서 배포한 랜섬웨어 복구 툴은 하이.. 2022. 7. 28.
랜섬웨어 감염시킨 PC 수리기사 검거 사례 오늘은 최근 큰 이슈가 되었던 해커가 아닌 수리기사가 PC에 랜섬웨어를 감염시킨 사례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단순 고장 등으로 수리를 의뢰한 PC에 자체적으로 제작한 랜섬웨어를 감염시키거나, 실제 랜섬웨어에 감염된 기업이 복호화를 위해 해커와 협상하는데 필요한 돈을 부풀려서 3억원이 넘는 돈을 가로챈 수리기사들을 검거했다는 내용인데요. 이 기사를 접하고 나서, 이젠 PC 수리업체도 믿을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 그럼 이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려보도록 하죠. ​ 저는 어렸을 때부터 기계랑 좀 친숙한 편이라 PC가 고장나도 웬만하면 PC 수리업체에 맡기지 않고 직접 고쳐왔는데요.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PC가 고장나면 수리업체에 맡기고 있죠. 이 고장에는 보통 특정 장치가 오래되서 성.. 2021.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