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루어 파일1 화면보호기 악성코드를 이용한 피싱 메일 사례 오늘 에세이에서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악성코드 사례에 대해서 설명드릴까 합니다. 화면 보호기는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지만,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한 때 해커들이 많이 활용했는데요. 작년까지만 해도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악성코드가 유행했기 때문에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 이와 관련해서 말씀드리고 해당 악성코드의 동작 방식도 간단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용한 기사의 첫 줄에서 APT 공격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일단 이것부터 설명드리고 가도록 하죠. APT는 Advanced Persistent Threat의 약자로 직역하자면 지능형 지속 공격이라고 부릅니다. 이 APT 공격은 앞으로 꽤 자주 등장할텐데 단순히 말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악성코드를 메일로 뿌리고 끝나는 1회성 .. 2021. 7.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