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메일 보안 솔루션3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이메일 보안 솔루션 도입 실행 파일형 악성코드를 첨부하여 사용자의 실행을 유도하는 방식부터, 업무에 사용하는 문서에 악성 행위를 하는 코드를 삽입하거나 피싱 사이트로 유도하는 형태까지 모두 이메일을 통해 공격하고 있습니다. 공격자 입장에서는 이메일이 가장 많은 수의 불특정 다수에게 간편하게 악성코드를 전달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는 일종의 통로된 것인데요. 특히 문서형 악성코드와 같이 이메일을 통한 공격을 막기 위해서는 CDR과 같은 이메일 보안 솔루션을 사용해야 하는데 중소기업에서는 여전히 예산 등의 문제로 도입이 미비한 실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이메일 보안 솔루션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메일을 통한 보안 위협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 2023. 10. 18. 분실된 암호화폐 복구 사칭 악성 메일 사례 작년 말까지만 하더라도 비트코인을 포함해서 여러 코인들이 모두 강세를 보였는데, 올해 초부터 심각한 물가 상승과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 정책으로 인해 모든 암호화폐들이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주식에 비해서 단순히 코인 개발자들의 소식이나 미국 연준의 정책에 의해 너무 가격 변동이 심하기도 했지만, 이렇게 여러 암호화폐들의 인기가 하늘을 치솟으면서 해커들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되었는데요. 랜섬웨어를 감염시켜서 암호화폐로 송금을 유도한다던지, 암호화폐 거래소를 사칭해서 피싱 메일을 보내는 방식으로 말이죠. 오늘 설명드릴 사례도 암호화폐를 복구해준다는 내용의 악성 메일인데 이 부분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악성 메일은 암호화폐 분실과 관련해서 도움말 파.. 2022. 6. 1. 메일 클라이언트 보안의 이모저모 2018년부터 미들웨어 전문 기업에 입사한 후 꽤 오랜 시간 동안 메일 클라이언트 개발 부서에서 일을 하였다. 팀에 들어온 후로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나 DB와 관련된 주 기능인 아닌 스펙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바이너리 호환 업무를 맡아서 해왔었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기술적으로 딱히 쓸만한 글이 없었는데, 코로나 사태 이후 랜섬웨어 같은 악성코드가 메일을 통해 감염되는 등 보안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개발 중이었던 메일 클라이언트에도 보안 기능이 필요하다고 본부에 제안을 했고, 해당 기능의 필요성을 인정받아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을 하게 되었다. 보통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특정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가장 첫 번째로 수행하는 일은, 제품을 개발하는데 참고하는 레퍼런스 제품들이 실제로 해당 기.. 2021. 12.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