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서 보안1 업무 메일 회신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 사례 오늘은 업무 메일 회신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설명드릴 내용은 이전 글이었던 "매크로를 사용한 부고 안내문 사칭 메일 사례"의 후속 글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매크로를 이용한 문서형 악성코드를 압축해서 zip 파일로 보낸 케이스로, 이번 에세이에서 문서형 악성코드의 동작 방식을 다시 한 번 간략히 언급하면서, 이번 사례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가 악성코드를 실행시키도록 유도했는지 설명드려보죠. 일단 리마인드 차원에서 매크로를 이용한 문서형 악성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매크로라는 녀석은 자주 사용되고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설명드렸었죠. MS Office의 워드나 엑셀, 심지어 한컴의 한글 문서나 PDF까지.. 2021. 6.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