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안에세이2 윈도우 정품인증 툴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례 제가 학생이었던 10년 전쯤에는 P2P와 같은 파일 공유 사이트를 상당히 많이 이용했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자료 외에도 저작권과 같이 법적으로 공유하면 안되는 프로그램을 싸고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저도 꽤 많이 이용했었죠. 지금은 직장인이기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으면 돈을 주고 사서 쓰지만, 그 보다도 파일 공유 사이트에는 악성코드로 위장한 프로그램들이 워낙 많이 떠돌아 다니기에 어느 순간부터 자연스럽게 사용하지 않았던 것 같기도 합니다. 지금도 파일 공유 사이트를 사용하는 분들이 있을거라 생각하는데, 경각심을 가지실 수 있도록 오늘은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윈도우 정품인증 툴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죠.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보통 많이 찾는 것은 보.. 2022. 3. 26. 악성 앱을 사용한 스마트폰 해킹 오늘부터 이 "Security Essay" 카테고리에서는 보안 이슈에 대한 기사를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고, 더불어 개인적인 견해를 적어보는 말 그대로 보안 에세이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원래 네이버 블로그에서 진행하고 있었으나 티스토리를 갑작스럽게 만든 이유는, 네이버가 검색 엔진에 노출이 너무 안되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개발자들이 보통 티스토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저도 하나 만들어야 겠다고 느꼈기 때문이죠. 물론 저는 순수 개발자는 아니지만 현재는 개발에 종사하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개발과 더불어 보안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글에 쓰는 대부분의 내용은 네이버 블로그에 1차적으로 적은 글을 다시 탈고하여 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점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자.. 그.. 2021. 5.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