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악서코드1 매크로를 사용한 부고 안내문 사칭 메일 사례 오늘 에세이에서는 메일로 전파되는 악성코드 중에서 조금 더 지능화된 사례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이전에 다뤘던 메일의 첨부파일에 첨부된 악성코드는 대부분 실행파일이였죠. 해커가 파일의 이름을 'abc.exe.pdf'와 같이 이중 확장자를 사용거나 파일 아이콘을 PDF와 같은 일반적인 문서처럼 바꿔 보내는데, 이러한 케이스는 보통 메일 보안 솔루션에서 확장자 기반 필터링으로 차단 됩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악성코드가 실행파일이 아닌 우리가 자주 쓰는 문서 형태로 오는 케이스에 대해서 기술적인 내용과 함께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저희가 PC에서 자주 이용하는 문서는 보통 MS Office의 워드나 엑셀, 한컴의 한글 문서 등이 있죠. 그런데 우리가 작성한 문서 안에도 개발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2021. 6.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