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악성 문서2

블랙프라이데이 노린 악성 엑셀 문서 유포 사례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 다음 날인 금요일에 플랙프라이데이라는 세일 시즌이 존재하는데요. 아마존과 같은 이커머스 기업에서 엄청난 할인을 해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몰리곤 하죠. 최근에는 이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을 노려서 기업을 타겟으로 악성 엑셀 문서를 유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과 함께 기술적인 내용에 대해서도 쉽게 풀어 써보도록 하죠. ​ 이전 글인 "참가신청서 양식으로 위장한 문서 악성코드 유포 사례"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한 문서형 악성코드 사례에 대해 설명드렸던 적이 있었는데요. 위의 사례에서는 워드 문서인 doc 파일에 악성 매크로를 삽입해서 유포가 되었는데, 이번에는 엑셀 파일에 매크로를 삽입했습니다. 다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엑셀의 확장자인 xls가 아닌 xl.. 2021. 12. 14.
악성 문서와 구글 블로그를 이용한 해킹 사례 날이 갈수록 보안 솔루션에 걸리지 않기 위해 해킹에 사용하는 수법들이 교묘하게 발전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악성 문서와 구글 블로그를 이용한 해킹 사례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악성 문서는 이전에 설명드린 "매크로를 사용한 부고 안내문 사칭 메일 사례"에서 동작 방식에 대해 충분히 설명드렸으니, 여기서는 다른 사례들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고 넘어가도록 하고요. 이번 사례에서 봐야할 것은 구글 블로그를 사용해서 보안 솔루션의 탐지를 우회했다는건데,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 해킹 사례에서 사용된 학술대회 참가 양식으로 위장한 워드 문서 악성코드에서는 보안 솔루션을 우회하기 위해 보안 문서처럼 암호를 설정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안 솔루션에서 문서형 악.. 2021.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