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애플2 애플 M1 프로세서 시스템 권한 탈취 취약점 사례 애플이라고 하면 사과라는 영어 단어로만 알고 있던 어렸을 때와 다르게, 지금은 맥북이나 아이폰을 만드는 세계적인 기업이자 미국의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아시고 계실텐데요. 물론 저는 아직까지도 스마트폰이나 맥북을 한 번도 사용해보지 않았습니다. 사실 개발과 보안을 주 업으로 삼은 입장에서 폐쇄적인 정책과 좀 더 정교한 보안 체계 때문에 맥북을 써볼까도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익숙한 윈도우가 좀 더 사용하기 좋기 때문이었죠. 그런데 최근 맥북에 탑재된 M1 프로세서에 설계 오류로 인한 시스템 권한 탈취 취약점이 발견되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과거 인텔의 CPU 취약점과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른 애플 M1 프로세서의 취약점에 대해 이야기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맥OS가 설치된 맥북을 보안 때문에 사용하시.. 2022. 6. 26.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 도입 오늘은 지금까지 설명했던 악성코드 이슈가 아닌 프라이버시.. 즉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이야기를 드릴까 합니다. 여태까지는 기술적 보안 측면의 내용들만 소개시켜 드렸는데 너무 또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으면 안될 것 같기도 하고, 최근 보안에서 중요한 화두가 데이터 3법, GDPR, 마이데이터(MyData)처럼 개인정보를 보호하는게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관리적 보안 측면에서 내용을 소개드리도록 하죠. 이번에 가져온 기사는 애플에서 앱 추적 투명성(App Tracking Transparency, ATT)을 도입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재미없을 수 있겠지만 최대한 관심이 갈 수 있게 내용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왜 최근에 개인정보 보호가 화두가 되고 있는지 먼저 말씀드려보도록 할텐데요. .. 2021. 5.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