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탐2 알약 PC 먹통 사태로 본 백신 오탐 사례 엊그제 알약 백신을 사용하는 PC에서 랜섬웨어 탐지 경고창이 뜨면서 PC가 먹통이 되는 사태가 발생했었죠. 백신에서 정상 프로그램을 랜섬웨어로 오진하는 바람에 벌어진 일인데, 굉장히 많은 분들이 PC를 원래 상태로 복구하느라 애를 썼다고 합니다. 대부분은 PC의 안전모드에서 알약을 삭제하는 것으로 원 상태로 되돌릴 수 있었다고 하는데, 몇몇 분들은 이렇게 해도 해결하지 못해 아예 포맷을 하신 분들도 계신거 같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알약 백신에서 왜 이와 같은 일이 벌어졌는지 간단하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이번에 발생한 사태의 경우 알약의 안티 바이러스 기능에서 오탐 문제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보이는데요. 여태까지 제 글에서는 보안 솔루션들을 소개하면서 백신(Vaccine)과 안티 .. 2022. 9. 1. 오탐과 미탐(False Positive, False Negative) 정보보안기사를 공부하시다 보면, IDS(침입 탐지 시스템)이나 IPS(침입 방지 시스템)에서 오탐과 미탐에 대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원래 통계에서 나오는 False Positive와 False Negative로 이어지는 내용인데요. 좀 더 나아가면, 머신러닝의 성능 평가 지표로 정밀도(Precision)와 재현율(Recall)에 대해 공부할 때도 보실 수 있는 부분이죠. 오탐과 미탐을 깊게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다른 부분들과도 깊게 연결되기 때문에 한 번 제대로 공부해 두시면, 이후 관련된 내용을 보실 때 더 잘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오탐과 미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False Positive와 False Negative라는 어려운 .. 2022. 7.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