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터넷 익스플로러2 웹사이트 주소 오타 시 랜섬웨어 감염 사례 오늘 설명드릴 보안 이슈는 웹 브라우저에서 네이버나 페이스북 같은 유명 웹사이트의 주소를 잘못쳐서 랜섬웨어에 감염되는 사례입니다. 이전 문장을 제대로 읽은게 맞나 싶기도 할텐데, 정확하게 보신 것이 맞습니다. 이제는 웹 브라우저에서 주소만 잘못 입력해도 랜섬웨어에 감염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물론 이번 사례는 윈도우 XP처럼 구닥다리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야지 감염되는 거지만, 여전히 몇몇 곳에서는 노후된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곳이 있다는 점이 문제겠죠. 그럼 어떻게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는지에 대해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랜섬웨어 감염 과정부터 말씀드리면, 해커는 사용자가 유명한 포털의 사이트 주소를 잘못 입력하는 것을 노립니다.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서 네이버를 "na.. 2021. 7. 26. 인터넷 익스플로러 지원종료 대응 방안 이번 에세이에서는 웹 브라우저에 대한 이야기를 드릴까 합니다. 현재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라고 하면 대부분 크롬(Chrome)을 떠올릴텐데, 아마 저와 비슷한 나이의 또래이시거나 00년대 이전이신 분들은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떠올리시는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물론 지금이야 다들 크롬을 사용하겠지만, 여전히 공공기관이나 은행 웹 사이트를 이용하실 때는 액티브엑스(ActiveX) 때문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실 텐데요. 이 액티브엑스가 굉장히 많은 보안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드디어 MS가 2022년 6월 15일 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대한 지원을 완전히 종료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대한 역사를 조금 말씀드리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인터넷.. 2021. 6.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