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해설3

쉽게 풀어보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1년 3회 (3) 이전 포스팅에서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11~15번 이후 16번부터 20번까지 풀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6. 설명에 맞는 알맞은 보기 고르기 ( ) 패턴은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중, 부모 클래스에 알려지지 않은 구체 클래스를 생성하는 패턴으로 자식 클래스가 어떤 객체를 생성할지 결정하도록 하는 패턴임. 또한 부모 클래스 코드에 구체 클래스 이름을 숨기기 위한 방법으로도 사용됨 16번 문제는 디자인 패턴의 설명을 보고 알맞은 답을 쓰는 문제입니다. 실제 기출 문제에서는 영문 보기가 주어진다고 하는데, 구체적인 특정을 모르면 틀릴 수 밖에 없는 문제죠. 앞에서도 말씀드렸던 것처럼 디자인 패턴에는 생성, 구조, 행위 패턴이 있다고 설명드렸습니다. 이미 1번 자바 코드 문제에서 싱글톤(Single.. 2022. 5. 8.
쉽게 풀어보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1년 3회 (2) 쉽게 풀어보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1년 3회 (1) 정보처리기사 실기가 2020년 부터 답단형으로 출제가 되면서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제가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했던 2015년에는 거의 답항보기에서 문제에 해당되는 정답을 찾아서 적는 jaysecurity.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을 11번부터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1. 다음 자바 코드에 대한 알맞은 출력값 쓰기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3, b = 4, c = 3, d = 5; if((a == 2 | a == c) & !(c > d) & (1 == b ^ c != d)) { a = .. 2022. 5. 5.
쉽게 풀어보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1년 3회 (1) 정보처리기사 실기가 2020년 부터 답단형으로 출제가 되면서 굉장히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제가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했던 2015년에는 답항보기에서 문제에 해당되는 정답을 찾아서 적는 사실상 객관식 시험이었고, 이후 3년 간 답항보기가 없어진 필답형에서 현재는 단답형으로 변화했는데요. 난이도만 놓고 보면 필답형이었던 2016년도가 가장 어렵지 않았을까 생각이 되지만, 출제 방식이 단답형으로 변화되면서 시험 과목의 범위가 굉장히 넓어졌다는 것을 생각할 때 전공자가 아닌 분들에게는 굉장히 어려운 시험이라고 생각됩니다. ​ 신기술과 전산영어를 어느 정도 보고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만 공부하면 거의 통과였던 과거 시험과 달리, 현재는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에 해당되는 요구사항 확인부터 인터페이스 및 화면 설계, .. 2022. 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