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취약점 진단2 U-06) 파일 및 디렉터리 소유자 설정 이번 글에서는 "파일 및 디렉토리 소유자 설정" 점검 항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항목은 퇴사 등의 이유로 사용되지 않는 계정이 삭제된 이후,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과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데요.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고 나면 파일에 어떤 현상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그대로 두면 어떤 위험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말씀드리도록 하죠. 그럼 마찬가지로 취약점 개요에 대해 먼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자신이 서버의 관리자라고 생각하고 기존 직원이 퇴사했을 때 해야할 일을 생각해봅시다. 기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서 퇴사자가 해당 서버에 더이상 접근할 수 없도록 계정을 삭제해야할텐데요. 일반적으로 userdel 명령어를 통해 기존 계정을 삭제하게 됩니다... 2022. 11. 27. U-05) root 홈, 패스 디렉터리 권한 및 패스 설정 지난번까지는 리눅스 서버의 계정 관리 부분에 대한 점검 항목을 알아봤다면, 오늘부터는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부분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까지는 설정 파일에 특정 옵션이나 값이 정상적으로 있는지를 보는 항목들이었죠. 이번 항목부터는 설정 파일의 권한이나 소유자가 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내용들이 많은데요. 이번 글에서 설명드릴 내용은 "root 홈, 패스 디렉터리 권한 및 패스 설정"으로 비인가자가 환경 변수 조작을 통해서 악의적인 기능을 실행시키지 못하도록 점검하는 항목입니다. 해당 점검 항목을 보시기 전에 먼저 PATH 환경변수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할텐데요. 가끔 윈도우에 파이썬이나 자바 JDK를 설치하고 커맨드 창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실행파일이 어디있는지 찾지 못해서 에러가 .. 2022. 8.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