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우드 서비스3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업이 확인할 수 있을까? 최근 네이버 클라우드의 서비스인 마이박스(MYBOX)에서 사용자 및 컨텐츠 통계자료를 공개했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진이나 이미지 등과 같이 마이박스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마음대로 본 것이 아니냐라는 논란이 되었는데요. 이런 통계 자료를 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찍은 사진을 직접 확인해야만 가능합니다. 특히 마이박스 캠페인 페이지에서 공개한 자료 속에 개인이 촬영한 듯한 사진이 올라오면서 커뮤니티에는 클라우드에 사진을 올리면 안된다는 글까지 올라오고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기업이 클라우드 데이터를 정말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기업에서 데이터를 들여다본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하는데요. 솔직히 마이박스와 같이 사용자가 데.. 2023. 3. 18.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악성코드에 감염된다면? 아마 IT를 업으로 삼으시는 분들은 이제 클라우드 기술을 모르는 분이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과거 기업의 전산실에 직접 서버를 구축해서 서비스를 운영했던 온프레미스 환경과는 달리, 현재는 대부분의 업무를 클라우드 상에서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죠. 또한 많은 기업에서 SaaS(Software as a Service) 방식의 메일 서비스, 온라인 문서 편집/공유 도구를 이용하면서 데이터를 기업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보관하게 되는데요. 문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과 동일한 일이 벌어지는데,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설명드리는 부분은 미국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인 랙스페이스(Rackspace)에서 발생한.. 2023. 2. 9. 네이버 클라우드 마이박스 사칭 공격 메일 사례 코로나가 발생했던 재작년부터 많은 회사들이 재택 근무를 했기 때문에, 관련 업무를 하면서 그 이전보다 메일 사용 빈도가 늘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죠. 그에 맞춰 피싱 메일들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굉장히 정교하면서 교묘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전에 이와 관련하여 해외 로그인이나 네이버 인증서, 전자문서 등을 사칭한 피싱 메일을 분석한 내용을 올리기도 했는데요. 처음에는 뭔가 딱 봐도 어색한 티가 많이 났었는데, 요즘은 이게 정말인지 구분하기도 어려워졌습니다. 잘못하면 해커에게 계정 정보를 헌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조심해야하는데, 오늘은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인 마이박스를 사칭한 피싱 메일 사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일회용 로그인 번호에 의한 접속 피싱 메일 이전에 올렸던 네이버 인.. 2022. 10.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