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우드 피싱2 구글 독스를 활용한 피싱 공격 사례 최근 계속해서 정상적인 서비스를 사용하는 피싱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구글 독스를 활용한 새로운 피싱 공격 사례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이전 글인 "중고나라 안전결제 사기 사례"에서 범죄자가 돈만 주면 쉽게 SaaS처럼 클라우드 호스팅 이용한 가짜 안전거래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씀을 드렸죠.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3가지 개념에 대해 간단히 소개드리면서 구글 독스(Google Docs)도 마찬가지로 SaaS 형태로 제공되어,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웹에서 워드나 파워포인트와 같은 문서 작업을 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구글 독스를 이용한 피싱 공격 사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죠. 우선 이 피싱 공격의 경우 해커가 피해자들에게 구글 독스의 문서를 공유.. 2021. 7. 12. 클라우드 호스팅을 이용한 피싱 사례 오늘 에세이에서는 클라우드 호스팅을 사용한 피싱 사례에 대해 설명드릴까 합니다. 이전 "중고나라 안전결제 사기 사례" 글에서 해커들이 클라우드 서비스인 SaaS 형태의 피싱 사이트를 활용해서 사기를 친다고 말씀드렸던 적이 있었죠. 해커가 굳이 힘들게 네이버 안전결제 사이트를 똑같이 만들 필요 없이, 이런 피싱 사이트를 만들어서 제공하는 업체가 존재한다고 했습니다. 최근에는 이와 비슷한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정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악용해서 좀 더 그럴듯하게 위장하는 피싱 사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업체가 보통 아마존이죠. 아마존은 AWS(Amazone Web Service)라고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2021. 6.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