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글 문서 악성코드2

한글 매크로 및 OLE를 이용한 악성코드 사례 한컴의 한글이라고 하면 아마 90년대 생들은 어려서 부터 지겹게 봐왔던 문서 작업 프로그램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은 워드프로세서 1급 자격증 밖에 남지 않았지만, 2,3급이 있었던 시절부터 실기는 이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시험을 봤었죠. 직장인이 된 지금은 한글보다 MS 오피스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여전히 공공 기관에서는 한글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할 겁니다. 이렇게 장황하게 한글에 대해 언급한 이유가 오늘 설명드릴 부분이 한글 문서 악성코드이기 때문인데, 한글에서는 다소 생소한 매크로와 OLE를 설명드리면서 이를 이용한 공격에 대해 같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매크로를 사용한 부고 안내문 사칭 메일 사례 오늘 에세이에서는 메일로 전파되는 악성코드 중에서 조금 더 지능화된 사례에 대해서 다.. 2022. 11. 10.
재난지원금 신청 동의서로 위장한 한글 문서 악성코드 요근래 날씨가 너무 추워졌는데요. 분명히 2주 전만 하더라도 코트를 입고 다녔던거 같은데 이제는 패딩을 입지 않으면 얼어 죽을 것 같은 날씨입니다. 추운 날씨인 만큼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모두 조심하기 바라면서, 오늘은 재난지원금 신청 동의서로 위장한 한글 문서 악성코드에 대해서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재난지원금 신청 기간은 이미 끝났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무심코 클릭했다가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기에 주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오늘도 간단히 설명드리도록 하죠. ​ 이전에 썼던 에세이인 "매크로를 사용한 부고 안내문 사칭 메일 사례"에서 doc나 xls과 같은 MS 오피스 문서를 이용한 악성코드에 대해 소개드린적이 있었죠. 오피스 문서에서는 VBA(Visual Basic for Applicat.. 2021. 1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