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DOS3 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가비아 DNS 서버 장애 발생 가정에 인터넷이 전반적으로 대중화되었던 시점 2000년대 초반 한창 자신만의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유행이였던 적이 있었는데요. 당시 지금은 웹을 배울 때 가장 기본으로 공부하는 HTML을 가지고 저도 저만의 웹 사이트를 만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홈페이지를 만들고 나면 로컬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이 가능해야 했기에, 직접 웹 서버를 구축하지 않고 대부분 외부 서버를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인 웹 호스팅을 사용하였죠. 가비아라는 업체가 웹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던 업체 중 하나였는데요. 현재는 가비아가 IaaS나 SaaS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업체로 변모하였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가비아의 웹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번주 가비아가 디.. 2023. 2. 27. KISA 디도스(DDoS) 사이버대피소 운영 사례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은 아마 해킹 기법 중에 가장 많이 알고 계시는 공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전 어느 게임 커뮤니티에 초등학생 정도로 보이는 유저가 다른 유저에게 게임 아이템을 안주면 디도스 공격을 한다고 귀엽게(?) 협박을 하는 짤도 돌아다니곤 했을 만큼 가장 잘 알려져 있죠. 2009년에는 디도스 때문에 공공기관과 금융권이 마비될 정도로, 한 번 당하면 엄청난 파급력을 일으키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디도스 공격만큼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 오늘은 디도스 공격의 쉬운 설명과 함께 이를 방어하는 디도스 사이버대피소에 대해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아시고 계시겠지만, 디도스를 그대로 풀어서 직역하면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2022. 8. 14. 패킷 디도스 공격 사례 이번 에세이에서는 앱(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공격이 아닌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공격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스마트폰에 악성 앱이 설치되거나, 피싱 사이트에 접속해서 정보가 유출되는 앱 레벨에서 발생하는 공격에 대해 말씀드렸죠. 처음부터 우리와 먼 이야기보단 친숙한 부분부터 말씀드리는게 좋을 것 같아, 네트워크와 관련된 공격 사례는 우선순위가 뒤로 밀렸습니다. 그래도 저희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한 디도스와 같은 공격도 피해갈 수 없기 때문에 이번에 소개드려보겠습니다. 여기서 설명드리는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레벨이라는 말은 네트워크를 처음 배울 때 나오는 OSI 7계층에서의 각 계층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를 처음 공부하시거나 잘 모르셔도 제가 앞으로 쓸 글에서 쉽게.. 2021. 5.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