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2P 악성코드2

한컴 오피스 2022 크랙 위장 악성코드 유포 주의 요즘은 이전과 달리 한글과 컴퓨터(이하 한컴)의 한글 프로그램을 많이는 사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물론 기업마다 다르겠지만 공공기관이 아니고서야 한글 프로그램으로 업무를 하는 경우는 많이 없는거 같기 때문이죠. 저도 현재는 MS 오피스의 워드, 엑셀 등을 이용하여 업무를 하고 있는데요. 과거 대학원 때 업무들은 대부분 한컴 오피스를 이용했기에 한글 뷰어와 함께 교육용 정도는 설치해서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작년 한컴에서 한컴 오피스 2022를 출시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크랙 버전이 돌아다니면서, 이를 위장한 악성코드도 같이 유포가 되었는데 이번 글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한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윈도우 운영체제와 MS 오피스 등 필수 프로그램의 크랙 버전은 이전부터 인터넷.. 2023. 6. 21.
윈도우 정품인증 툴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례 제가 학생이었던 10년 전쯤에는 P2P와 같은 파일 공유 사이트를 상당히 많이 이용했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자료 외에도 저작권과 같이 법적으로 공유하면 안되는 프로그램을 싸고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저도 꽤 많이 이용했었죠. 지금은 직장인이기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으면 돈을 주고 사서 쓰지만, 그 보다도 파일 공유 사이트에는 악성코드로 위장한 프로그램들이 워낙 많이 떠돌아 다니기에 어느 순간부터 자연스럽게 사용하지 않았던 것 같기도 합니다. 지금도 파일 공유 사이트를 사용하는 분들이 있을거라 생각하는데, 경각심을 가지실 수 있도록 오늘은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윈도우 정품인증 툴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죠. ​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보통 많이 찾는 것은 보.. 2022.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