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VPN 취약점2

VPN 취약점으로 인한 한국항공우주산업 해킹 사례 시간이 그렇게 가지 않을 것만 같았던 주였는데, 정신없이 일 하다보니 내일이면 벌써 금요일입니다. 뉴스 매체에서 보안 이슈들을 살펴보면 지난 달은 북한 해커 조직의 공격으로 인해 시끄러웠죠. 오늘의 에세이는 북한의 공격으로 인한 KAI(한국항공우주산업) 해킹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지난 글인 "북한 해커 한국원자력 연구원 해킹"에서 VPN 취약점을 통해 기밀 정보가 유출된 것 같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번 사례도 동일한 VPN 취약점을 이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KAI 해킹의 경우 6월 16일에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해킹 사실을 전달받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원자력연구원이 같은 달인 14일에 해킹당했으니, 북한에서 연속적으로 국가 핵심 연구기.. 2021. 8. 12.
북한 해커 한국원자력연구원 해킹 사례 오늘은 오랜만에 오후에 에세이를 쓰게 되었는데요. 회사 일이 워낙 바빠서 하루 이틀 정도 쉬어갈까 하다가, 짧더라도 꾸준히 써야지 앞으로도 쭉 글을 쓸 수 있을 것 같아 마음을 잡고 쓰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북한 해커에 의해 해킹 당한 사례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사실 이전에 발생한 한수원 사건이라든지 인터파크 해킹의 배후도 북한에서 지원하는 해커 조직이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 공격을 감행한 북한 해커 조직은 '김수키(kimsuky)'라고 부르는 단체입니다. 이 해커 조직은 이전부터 꾸준히 국내의 제약사나 기업들을 공격해 왔는데, 이번 한국원자력연구원 사건을 조사해보니 비슷한 IP를 통해 해킹이 된 것을 발견해서 알게되었.. 2021.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