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페이스 공격2

국내 공공기관 해킹을 선포한 중국의 해커조직 얼마 전 중국에 있는 해커조직에서 국내의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해킹하겠다며 엄포를 놓은 적이 있었습니다. 아마 최근에 중국에서 코로나가 전역으로 퍼지면서 입국 제한을 했던 것에 대한 보복인 것 같은데요. 이 때문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를 비롯한 공공기관에서는 비상이 걸렸죠. 중국 해커조직에서 도메인을 공유하여 동시다발적으로 해킹을 진행했다고 밝혔는데, 다행히 정부나 이와 관련된 공공기관의 경우 큰 피해를 입진 않았는데요. 하지만 보안이 취약한 연구소나 학회 홈페이지 등이 해킹을 당했다고 해서 오늘은 이 사건에 대해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내 사이버전 연구조직인 이슈메이커스랩에서는 지난 21일 중국에서 해커 조직들을 모집하여 국내 공공기관의 홈페이지를 해킹하였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대통령실과.. 2023. 1. 25.
사이트 화면을 변조하는 디페이스 공격 사례 이번에는 사이트 화면을 변조하는 기법인 디페이스 공격이라는 꽤 흥미로운 기사를 가져왔습니다. 예전에 한 중학생이 신문사의 전광판을 해킹했다라는 뉴스를 보셨을지 모르겠는데요. 물론 해당 사례는 특정 취약점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고 알려졌지만 이도 일종의 디페이스 공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디페이스 공격이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려보죠. ​ 먼저 디페이스 공격에서 'deface'가 무엇인지 단어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전에 찾아보면 '외관을 훼손하다'라고 나와있죠. 말 그대로 입니다. 해커가 사이트의 첫 화면을 훼손하여 자신이 원하는 화면으로 바꿔놓는 공격인데.. 홈페이지 변조 공격 쯤으로 생각하시면 충분할 것 같구요. 이 디페이스 공격이라는게 사실 화면만 바뀐걸로.. 2021.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