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OT3

월패드 해킹으로 인한 개인 사생활 유출 사례 오늘은 월패드 해킹으로 인해 다크웹에 개인 사생활 영상이 유출된 사례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지은지 얼마 되지 않은 신축 아파트나 오피스텔에서는 대부분 가정 내 도어락이나 가전, 조명 등의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월패드가 설치되어 있죠. 저는 구축 오피스텔에 살고 있기 때문에 아직 직접 사용하지 못했습니다만, IoT 기기들이 이 월패드에 연결되어 있고, 이를 외부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월패드 제어 앱으로 조작할 수 있다는 건 대부분 익히 알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 그런데 최근 이 월패드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 렌즈로 촬영되는 동영상을 외부로 유출되서 다크웹에 거래되고 있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하는데요. 결국 이 월패드 자체도 인터넷에 연.. 2021. 12. 9.
네트워크 프린터 해킹 사례 오늘은 들어보신 분들이 있으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프린터 해킹'이라고 해서 조금 오래된 보안 이슈를 가져와봤습니다. 사실 사건 자체는 큰 이슈가 안되었던게, 개인정보 유출 같은 문제가 아닌 밤 사이 프린터가 저절로 특정 글이 써진 문서를 인쇄하였다는 거였습니다. 하지만 프린터에 아무 문제 없이 접근했다는 것 자체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기기에도 접근할 수 있다는 의미겠죠. 제가 대학원을 다니면서 연구실 생활 중이었을 때, 해당 사건이 터져서 급하게 프린터에 방화벽 설정을 바꿨던 기억이 나는데 이와 관련해서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 에세이의 제목을 네트워크 프린터라고 적었는데, 이제는 프린터도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로 인식하셔야 합니다. 보통 IoT라고 하면.. 2021. 7. 4.
열화상 카메라 개인정보 유출 사례 이번엔 코로나로 인해 일상 생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례에 대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작년만 해도 코로나가 이렇게 오래갈 줄 몰랐는데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병원이나 백화점 같은 곳에서 출입하는 사람들의 온도를 재기 위해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해놓고 쓰고 있죠. 그런데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에 저장된 정보가 중국으로 전송한다는 분석 자료가 공개되어서 논란이 발생했었습니다. 화상회의 솔루션인 줌(Zoom) 또한 데이터가 중국 서버를 경유한다는 문제가 지적된 적이 있었죠. 오늘은 이에 대해서 한 번 설명드리겠습니다. ​ 보통 저희가 생각하기에 열화상 카메라라고 하면.. 어떤 사람이 다녀왔다갔는지 기록하는 정도 외에는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그런데 중국.. 2021.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