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SL2

URL 주소를 속이는 타이포스쿼팅 공격 저번주에도 비가 드문드문 왔었는데 이번주도 비 소식이 많다고 합니다. 이번 여름은 장마랑 태풍 때문에 고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에세이를 시작해보도록 하죠. 대신 오늘은 시작하기에 앞서 캠브릿지 대학의 연구 결과를 먼저 인용하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단어를 인식할 때는 한 단어 안에서 글자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고, 마지막 첫 번째와 마지막 글자가 원래 위치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 "왜하냐면, 흔히 발하생는 공격은 랜웨섬어이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을 읽었을 때 별로 이상한 감을 느끼시지 못했다면 오늘 말씀드리는 내용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이는 인간의 두뇌가 모든 글자를 하나하나 읽는 것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 2021. 6. 24.
네이트 개인정보 유출한 스니핑 사례 오늘은 꽤 오래전에 발생했던 네이트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서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벌써 10년전 일인데요.. 그때는 고등학생이기 때문에 내 정보가 유출되든 말든 지금과 같이 보안에는 딱히 관심도 없었는데, 오히려 그래서 개인정보 유출에 있어서 비교적 안전(?)했었던 아이러니한 일이 있었죠. 이게 무슨 말인지는 오늘의 주제인 스니핑과 함께 차근차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자.. 그럼 일단 네이트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 설명드릴텐데, 사실 이 내용은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 사례"와 동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어떤 취약점을 이용했는지 나와있지는 않지만 보나마나, 웹 서버에서 접근제어를 제대로 안했다던지, 관리자 계정의 기본 패스워드를 바꾸지 않아서 해서 해커가 쉽게 권한을 얻었거나.. 파일을 .. 2021. 6. 10.
반응형